'무장애공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10.22 눈먼자들의 도시

또 다른 이야기는 맹아학교라는 특수학교의 기본설계를 하던 과정에서 일어났던 일이다.
밤새워 열심히 그려간 도면을 한참 들여다보던 교장선생님은 나에게 이렇게 묻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 계단들은 도대체 어디 있는 것이요?"
라고.

나는 앞을 못보는 학생들에게 계단 같은 장애물은 가급적이면 피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게 아니냐고 반문하였다.
그러자 교장선생님은
"보세요. 이 아이들이 평생 이 학교에만 있습니까? 학교를 나가면 온통 계단들뿐인데
당신이 이 세상 계단을 모조로 없애버릴수 있겠습니까?
그럴 수 있다면 당신 계획대로 수용하지요. 그러니까 여기 입구에서부터 계단을 만들어주십시요"
라고 말하였다.

나는 할말을 잊었다.
학교는 우리들 고정관념 속에 있는 학교와 이 사회로부터 격리된 수용소가 아니라
한 시대, 한 사회를 살아갈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잠시' 머무는 또 다른 '사회(세계)'일 뿐이다.
- "사람 도시 건축" 중에서 (정기용 저)



유럽여행중 보았던 전철이 떠올랐다.
우리나라의 지하철과 두가지의 차이점을 발견했다.
가장 큰 하나는 출입문이 완전 자동은 아니라는 것이다.
전철이 정차하면 내리거나 탈 사람은 전철의 출입문을 손으로 열어야 한다.
힘들여 여는 것이 아니라 버튼 같은 것을 누르면 힘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열린다. 일종의 반자동이다.
우리나라는 사람이 있든없든 모든 전동차의 문이 한꺼번에 열리고 닫힌다.
유럽의 전철을 보고나니 모든 문이 열린다는 것이 낭비라는 생각이 들었다.

두번째는 배려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나라 전철은 전동차와 승강장사이 넓어서 발이 빠질것 염려가 있다고 친절(?)하게 가르쳐준다.
그런데 가르쳐만 준다. 발이 빠져도 나 몰라라 할 것이라고 미리 발뺌을 할 것임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그런데 유럽의 전철은 틈새를 메워준다.
문이 열리면서 자연스럽게 조그마한 발판이 같이 튀어나온다.
딸아이때문에 유모차를 끌고 전철을 타다보면 유모차의 바퀴가 걸릴때가 있다.
유모차이니까 내가 위급하면 들어서 옮길수가 있다.
그러나 장애인이 혼자타는 휠체어라면 어떻겠는가. 생각만해도 아찔하다.
유럽의 전철에서 자그마한 발판을 보았을때 이러한 것이 선진국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의 거의 모든것에는 기본적인 배려가 깔려있는 것이다.
큼직큼직한 것에는 전부 배려가 되어있으니 사소한 것에도 배려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휠체어를 타고 다닐만 한 곳이 없다.
나역시 유모차에 딸아이를 태우고 시내를 다니다보면 엘리베이터가 없는 곳이 너무도 많다.
가끔 명동에 나가는데 을지로입구역에서 명동으로 갈때 지하철역 지하에서 지상으로 올라가려면 두손으로 유모차를 들고 올라가야한다. 나야 남자니까 가능하지만 여자 혼자라면 정말 대책이 없다.
그나마 롯데백화점입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있긴하지만 에스컬레이터에 유모차를 태우는 것도 만만치않은 일이다.
사회 곳곳에 배려가 없다.

교장선생님의 이야기가 너무도 가슴에 와닿는다.
우리나라 거의 모든곳은 전부 장애공간이다. 예전에 걸어다닐때는 잘 몰랐는데 딸아이 유모차를 끌고다녀보니 절실하게 깨달았다. 전부 장애공간이다.
유모차하나 끌고 다니기도 힘든데 휠체어는 오죽이나 더하랴.

나도 디자인을 할때 무장애공간(Barrier Free)에 대한 개념이 잡혀있지않다.
기본적으로 건축허가를 받기위해선 장애인관련 편의시설에 대한 계획을 하지만 최소한도의 수준에 그치며, 그 마저도 제대로 이해하고 디자인을 한다기보다는 기존의 도면에 있는 것을 가져다가 수정하여 제출하곤 한다.
얼마오지않는 장애인때문에 보통의 사람들이 불편을 겪어야하느냐고 반문을 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보통의 사람들은 아주 잠깐 불편하겠지만, 장애인은 어쩌다 한번 편한 것이다.
최근들어 장애인 편의시설계획에 대한 이해도가 커지긴 하지만 아직도 미비하다.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어제 무릎팍도사에 시골의사 박경철원장이 나와서 이야기했다.
장애아이를 둔 모든 부모의 소원은 자식보다 하루를 더 사는 것이라고.
아직 사회안전망이 확충 되지않았기 때문일텐데...

정말이지 눈먼자들의 도시이다.


Posted by The 賢岩
,